[심기운 곳에서 꽃피우기-신경아 사모] 관성의 법칙(the law of inertia) VS 전환의 법칙(the law of transition)

by admin posted Jun 01, 2019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ESC닫기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newshin.JPG

 

 

며칠 전, 막내 아이가 식탁 위에서 물병을 뱅뱅 돌리다가 멈추며, 물병 안의 물을 보라고 하였다. 물병은 회전을 멈췄는데도 물병 안의 물은 여전히 회오리 치며 돌고 있었다. "아! 관성의 법칙 때문에 그렇구나." 중학교때 배웠던 과학 이론이 생각났다.  

관성의 법칙이란 외부에서 힘이 가해지지 않는 한 모든 물체는 자기의 현재 상태를 유지하려고 하는 경향을 말한다. 버스가 갑자기 급정거를 하면, 버스 안의 승객들의 몸이 앞으로 쏠리는 현상이 대표적인 예이다. 버스는 멈추었지만, 버스 안의 승객들은 계속 앞으로 가려는 경향을 유지하려고 하기 때문에 몸이 앞으로 쏠리는 것이다.  

이처럼 현상태를 계속 유지하며 변화를 거부하려는 경향은 물리적 현상에만 있는 것이 아니라 나의 마음 속에도 깊이 자리잡고 있다. 나는 새로운 것을 별로 좋아하지 않는다. 그리고 도전을 그리 반기지 않았다. 음식점도 익숙한 곳에 가길 좋아하고 주문도 먹어 봤던 것을 주문한다. 새로운 사람과 사귀고 어울리기 보다는 예전에 알던 사람과 편안하게 시간을 보내기를 좋아한다. 음악도 듣던 것만 듣는다. 옷도 이것 저것 입기 보다는 몇 가지를 정해 놓고 줄구장창 그 옷만 입는다.

그런데, 이 무슨 운명의 장난이란 말인가! 2019년 한 해는 극심한 변화, 전환의 시기였다. 이제까지 익숙했던 인생의 1막을 접고, 이제 2막으로 전환하는 시점이란 말이다. 

내 삶의 어떤 전환이 있었는지 살펴보자. 일단, 이사를 했다. 내 직업이 바꿨다. 남편이 새로운 일을 시작했다. 딸과 아들이 졸업을 했다. 4년 전에 태평양을 건너 이사를 왔으니 그때 보다는 덜한 전환이지만 이번 이사에서도 이삿짐을 나르고 집을 정리하느라 스트레스가 극심했다. 한국에 있을 때에는 초등 교사였지만 올해 나는 새롭게 특수 교사로 태어났다. 사용하는 언어도 한국어에서 영어로 바뀌었다. 언어가 바뀌며 지적 수준도 대학원졸에서 초등학교 졸로 바뀐 것처럼 한없는 부족함을 느낀다. 남편이 "마리코파"라는 동네에 새로운 교회를 개척하였다. 딸은 고등학교를 아들은 중학교를 졸업하였다. 인생의 전환이 이루어지면서, 내 몸 속에 뿌리 박혀 있는 관성의 법칙을 집어 던지고, 얼마나 빨리 새로운 변화에 적응하는 전환의 법칙에 익숙해 지느냐가 내 삶의 핵심이 되었다. 

전환의 법칙(the law of transition)은 방금 내가 지어낸 말이다. 요즘 세상은 전환을 얼마나 빨리 그리고 잘 하느냐가 생존의 열쇠라는 생각에서 붙여 본 이름이다.  

특수 교육 현장에서 '전환' 즉 'transition'은 굉장히 중요한 이슈이다. 어떤 학생에게 특수 교육이 필요한가 아닌가를 가늠하는 하나의 기준이 된다. 장애 여부를 판별하는 진단검사를 할 때 학교생활에서 고집을 부리지 않고 선생님의 지시에 따라 한 활동에서 다음 활동으로 잘 넘어가느냐 그렇지 못하느냐가 중요한 진단 기준이다. 

예를 들면, 교사가 학생들에게 자유 놀이시간이 끝나고 교실에 들어가 손을 씻으라고 하면 대부분의 학생들은 그 지시에 따라 얌전히 교실에 줄을 맞춰 들어가 손을 씻는데, 어떤 학생의 경우 울며 불며 땅에 드러 눕기도 하고, 도망 다니며 교실에 들어가기를 거부한다. 이 경우 담임 선생님들은 매우 곤란해하며, 특수교사에게 이 학생이 장애가 있는지를 관찰해 줄 것을 의뢰하게 된다. 

자폐증이 대표적으로 전환을 거부하는 장애이다. 자기만의 스케줄이 있어서 그것에서 한치라도 어긋나게 되면 그날 하루는 공부고 뭐고 다 망가지게 된다. ADHD나 강박장애(Obsessive-Compulsive Disorder) 등도 대체로 자기만의 틀이 있어 그 틀에서 변화나 전환을 요구하게 되면 굉장한 스트레스를 받게 되는 장애들이다. 

학교에서 일하다 보니, 미국 교육은 '전환의 법칙'을 잘 가르치고 있는 것 같다. 변화를 격려하고 변화에 유연하다. 예를 들면 학군에 상관없이 전학이 가능하다. (특수교육 대상자는 제외) 고등학생들도 자신의 대학 입학 준비에 따라 전학을 자유롭게 할 수 있다. 아리조나의 경우, 고등학생들이 썸머스쿨, 온라인 스쿨 등 자유로운 형태의 학교에서 선택 수업을 들을 수 있다. 교사들도 학교를 바꾸는 것이나 직업을 바꾸는 것에 상당히 자유로운 생각을 가지고 있다. 

학년말이 되니, 여러 선생님들과 인사말처럼 "다음 학기에도 뵐 수 있나요?"라고 서로 안부를 묻는다. 풀타임에서 파트타임 교사로 바꾸는 선생님들도 계시고, 다른 교육청이나 학교로 이동하는 선생님들도 계신다. 물리적으로도 이리 저리 이동하거나 이사하는 것이 가볍고 쉽다. 각자 노트북 컴퓨터로 업무를 보기 때문에, 이삿짐이 별로 없고, 대부분 교육청에서 빌린 교구들이므로 도서관에 빌린 책을 반납하듯이 사용하던 물품을 반납하고 훌쩍 떠나면 그만이다.  

지금은 3차 산업시대에서 4차 산업시대로 넘어가는 과도기라고 한다. 그래서인지 여기저기서 변화에 적응하느라 신음하고 몸부림치는 소리가 들린다. 일반 택시에서 우버로, 호텔에서 에어 비엔 비로, 종이책에서 전자책으로 확확 바뀌고 있다. 사는 곳도 더 이상 한 곳에서 몇십년씩이 아니다. 자의반 타의반으로 목숨을 걸고 물 건너, 사막 건너 국경을 넘어야만 하는 상황이 벌어지고 있다. 

2019년 여러 번의 전환을 겪으며 내가 터득한 한가지 적응비법이 있다. 그것은 바로 "가벼워지기"이다. 첫번째로 언제든지 훌쩍 이동할 수 있도록 필요한 가구와 물건만을 가지고 사는 것이다. 두번째로는 마음을 비우고 잘 기다리는 것이다. 때로는 "에라, 모르겠다." "그러거나 말거나!" 등의 말들을 떠올리면서 달관한 자세를 연습해 보는 것이다. 되도록이면 화 내지 말면서 말이다. 세 번째로는 일보다 사람을 중요하게 여기는 것이다. 다 사람들이 잘 살자고 일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아직 관성의 법칙에서 헤어나지 못하는 있는 지구인들이여! 어서 늦기 전에 전환의 법칙에 올라타기 바란다. 각자의 전환의 법칙 적응방법을 개발하길 바란다. 그래서 나에게도 한수 가르쳐 주시길!


Articles

4 5 6 7 8 9 10 11 12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