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리조나의 미 대선 재검표에 난데없는 한국 관련 음모론?

by admin posted May 18, 2021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ESC닫기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new3.JPG

 

 

미국의 지난해 11·3 대선을 둘러싼 부정선거 주장이 완전히 가시지 않은 가운데 난데없이 한국과 관련된 음모론이 등장했다.

대선 직후 한국에서 가짜 투표용지를 실은 비행기가 미국에 도착해 개표에 합산됨으로써 부정선거가 발생했다는 주장이지만, 현재까지 관련 증거는 나오지 않았다는 게 언론들의 보도다.

10일 워싱턴포스트(WP)에 따르면 아리조나주에서 인구가 가장 많은 마리코파 카운티에서는 11·3 대선 개표에 대한 상원의 감사가 진행 중이다.

아리조나에서 조 바이든 대통령은 0.3%포인트, 1만여 표 차이로 트럼프 전 대통령에게 간신히 승리했다.

마리코파 카운티에서는 대선 후 부분적 수작업 재검표가 실시됐고 더그 듀시 주지사의 바이든 승리 인증까지 이뤄졌다.

두 차례 감사에서도 아무런 문제가 나오지 않았지만 공화당이 다수석인 주 상원이 이후 모든 투표용지와 개표기에 대한 전례 없는 소환장을 발부함에 따라 상원의 추가 감사가 시작됐다.

앞서 트럼프 전 대통령이 속임수를 잡아내기 위해 우편투표에 은밀히 워터마크(투명무늬)를 넣어뒀다는 음모론을 검증하기 위해 자외선 검사까지 진행했었으나 워터마크는 없었다고 AP 통신은 전했다.

대부분 공화당 지지층이 참여해 진행 중인 추가 감사의 조사 대상 중 하나는 투표용지가 한국에서 부정한 방식으로 들어온 징후가 있는지다.

아리조나 지역언론들은 대선 후인 11월 7일 바이든 후보에 투표한 것으로 위조된 투표용지가 한국 국적 항공사 비행기를 통해 피닉스 스카이하버 국제공항에 도착해 마리코파 카운티의 개표소로 옮겨졌다는 음모론이 있다고 전했다.

이 황당한 주장의 검증 과정은 투표용지에 기계로 찍힌 듯한 용지가 있는지, 대나무 섬유조직이 있는지를 찾아내려는 노력으로도 이어진다.

대나무 이야기가 나오는 것은 한국 말고 중국과 관련된 음모론도 있기 때문이다. 

당시 중국이 트럼프를 낙선시키고 바이든을 당선시키기 위해 부정선거에 관여했는데, 중국에서 만든 종이는 대나무 섬유조직이 포함돼 있으므로 이 점을 검증하면 부정선거 여부를 가릴 수 있다는 것이다. 

실제로 트럼프 지지자들은 "투표용지에 대나무 섬유조직이 있는지 찾아내야 한다"는 주장을 편다.

WP는 "아리조나 선거 감사에서 공화당의 사기투표 환상이 계속되고 있다"고 지적하며 감사가 7월까지 진행될 수 있다는 관계자 발언을 전했다.


Articles

46 47 48 49 50 51 52 53 54 5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