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값도, 폭염도 감당 못해" 메트로 피닉스 저소득층들 '이중고'

by admin posted Jun 28, 2021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ESC닫기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N3.JPG

 

 

코로나19로 인한 경기침체에도 아랑곳하지 않고 메트로 피닉스의 집값은 하늘 높은 줄 모르고 치솟았다. 

문제는 치솟고 있는 게 집값만이 아니라는 점이다. 

아직 여름 초입인데도 메트로 피닉스의 수은주는 6일 연속 화씨 115도를 넘어서며 폭염 기록을 갱신했다. 

에어컨이 나오는 아파트 집세를 감당하지 못해 트레일러로 밀려난 사람들은 집 문제뿐만 아니라 날씨와도 싸워야 하는 어려움에 처하고 있다. 

해마다 각종 기록을 갈아치우고 있는 미 남서부의 폭염과 가뭄은 빈부격차라는 사회적 재난과 맞물리며 '퍼펙트 스톰'의 상황을 낳고 있는 것이다.

후안 구티에레스(22)는 건설현장 노동자다. 

그가 살고 있는 피닉스의 집값은 지난해 30%가량 상승했다. 

코로나19로 오히려 호황을 누리고 있는 정보기술(IT) 노동자와 재택근무가 가능한 직종에 종사하는 사람들이 몰려들면서 월세도 8%씩 올랐다. 

메트로 피닉스의 렌트비 상승율은 전국 최고수준이다.

코로나19 이후 일자리를 찾기 어려운 저소득층에게 미친 듯이 상승하는 집세와 기온은 이중, 삼중의 고통이다. 

구티에레스는 해가 뜨기 전부터 일을 시작하지만 오전 7시에 이미 화씨 90도를 넘어선 기온은 한낮이 되면 115~118도에 육박한다. 

4세 때 미국에 왔지만 여전히 불법체류자 신분인 구티에레스는 뉴욕타임스에 "피부가 타버릴 것 같지만 이 일밖에 할 수 있는 게 없다"고 말했다. 

한낮 최고기온이 120도 이상으로도 치솟는 뙤약볕 아래서 일을 해야 하는 사람들은 그야말로 목숨을 걸어야 한다.

에어컨 때문에 늘어난 전기료 부담은 이들을 더욱 어려운 선택지로 내몬다. 

저소득층은 집세를 내기 위해 에어컨을 끌 것이냐, 에어컨을 틀기 위해 강제퇴거의 위험을 무릅쓰고 집세를 밀리게 할 것이냐의 기로에 놓여 있다. 

이동식 주택인 트레일러에서 생활하는 존 나이리(70)는 전기요금 걱정에 웬만하면 에어컨을 틀지 않는다. 

대신 에어컨이 나오는 인근 식료품점에서 자주 더위를 식히지만 한밤이 돼도 내려가지 않는 기온이 무섭다. 

2년 전 여름 한 이웃이 뜨거운 태양열에 달궈진 트레일러 안에서 숨진 채 발견된 적도 있다.

거리에서 숙식을 해결하는 홈리스에게 폭염은 특히 위험하다. 

지난해 메트로 피닉스 지역에서 온열질환으로 사망한 323명 가운데 절반이 노숙인이었다. 

문제는 집세를 내지 못한 세입자들이 다음달부터 무더기로 거리로 쏟아져 나올 수 있다는 것이다. 

그간 미 정부는 코로나19로 인해 경제적 피해를 입은 세입자가 월세를 내지 못해도 집주인이 강제퇴거를 하지 못하도록 연방 차원에서 유예시켰는데 이 조치가 이달 말 종료될 예정이다. 

연방인구조사국은 코로나19 대유행 동안 임차료를 내지 못한 세입자가 820만명에 달한다고 추산했다.

멜리사 과르다로 아리조나 주립대 교수는 "극도의 폭염은 우리가 안고 있는 문제들을 훨씬 극명하게 만들었다"고 말했다. 

기후변화로 극단화된 날씨가 빈곤과 극한 노동, 에너지 난민 등 미국 사회가 안고 있는 사회·경제적 문제들을 심화시키고 있다는 분석이다.

한편 기상 전문가들은 6월 아리조나주를 포함한 미 서부지역의 폭염을 초래한 주범으로 대형 열돔(Heat Dome) 현상과 20년에 걸친 대가뭄을 꼽았다.

전문가들은 캘리포니아주 해안부터 북미 대륙 중앙의 대평원 지대까지 강력한 열돔이 형성된데다 20년 넘게 지속된 서부 대가뭄이 기온 상승을 부채질하며 이 지역에 폭염의 장막을 만들어냈다고 설명했다.

UCLA 환경연구소 기후학자 대니얼 스웨인은 폭염의 배경에는 "명확한 인간의 지문이 찍혀있다"며 "기후변화가 극한의 더위를 더욱 악화시키고 있다"고 말했다.


Articles

44 45 46 47 48 49 50 51 52 5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