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Z 연방의원 시너마가 요즘 바이든 대통령 보다 더 주목받는 이유는?

by admin posted Oct 18, 2021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ESC닫기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N2.jpg

 

요즘 미국 정치의 최고 주인공은?

조 바이든 대통령이 아니다. 

주인공 자리는 아리조나에 지역구를 둔 여성 연방상원의원 키어스틴 시너마(45)에게 양보해야 할 것 같다. 

얼마나 관심의 초점이 됐으면 뉴욕타임스는 “시너마 천국”이라는 별명까지 붙여줬다. 

시너마 의원의 성 ‘Sinema’는 ‘시네마(Cinema)’와 철자 하나만 다를 뿐 거의 비슷하게 들린다.

민주당 소속인 시너마 의원은 바이든 대통령으로부터 연락이 와도 씹을 정도로 대단한 위치에 올라섰다. 

초선의 ‘듣보잡’ 상원의원이 일반인들의 입에 오르내리며 전국적인 지명도를 얻게 된 과정을 살펴보면 극심한 분열상을 겪는 미국 정치의 민낯이 보인다.

시너마 의원이 가는 곳마다 시끄러운 시위대가 등장한다. 

“드라마(시위)를 몰고 다닌다”고 해서 ‘시너마 드라마’라는 유행어도 있다. 

2일 워싱턴 의회에 아픈 발을 치료하러 간다고 보고하고 아리조나 지역구에 내려온 시너마 의원. 

피닉스의 고급 리조트에서 열리는 정치자금 모금 행사에 참석하려고 하자 시위자들이 막아섰다. 시위대는 “치료 목적이라더니 왜 정치 행사에 참석하느냐” “대기업이 후원하는 행사에서 밥 먹으면 배가 부르냐” 등의 비난을 쏟아냈다. 

비즈니스 로비단체가 마련한 이 파티는 45분간 시너마 의원이 참석하는 대가로 참석자들이 최고 6000달러씩 후원금을 내는 행사였다. 

시너마 의원은 시위대를 뚫고 입장했고, 행사장 밖에서 시끄러운 시위가 이어졌다.

3일 시너마 의원은 ‘화장실 봉변 사건’을 당했다. 

자신이 19년 동안 정치 과목을 가르치는 아리조나주립대(ASU)에서 사건은 벌어졌다. 

수업 중 교실 밖에서 대기하던 시위대는 시너마 의원이 화장실에 가자 따라 들어갔다. 

남성이 포함된 ‘아리조나 변화를 위한 연대(LUCHA)’라는 단체 회원들은 시너마 의원이 볼 일을 보는 동안 문 앞에서 미리 준비해온 항의문을 읽었다. 

“우리 가족은 이민규제에 막혀 수십 년 동안 미국에 오지 못하고 있다”는 내용이었다. 

시너마 의원이 세면대에서 손을 씻는 동안에도 옆에서 계속 항의문을 읽었다. 

시위대는 전 과정을 촬영해 소셜미디어에 올렸다. 이 동영상은 단숨에 500만 건의 조회 수를 돌파했다.

정치인이 신념을 달리하는 시위자와 마주치는 것은 흔한 일이다. 

하지만 가장 은밀한 공간이라고 할 수 있는 화장실까지 따라오는 것은 “지나치다”는 지적이 많았다. 

시위대에 이골이 난 시너마 의원도 “명백한 인권침해”라며 화를 냈다. 

화장실 사건은 대통령의 귀에까지 들어갔다. 

그런데 바이든 대통령은 웃으며 “공인이라면 겪는 일” “경호원이라도 있었으면 좋았을 걸”이라며 농담까지 하며 은근히 시위대 편을 들었다. 

시위대에게 따끔한 충고를 할 것으로 기대됐지만 흐지부지 넘겨버린 대통령의 상황 인식에 대한 비판 여론이 고조되자 백악관 대변인은 “대통령이 말하려던 것은 그게 아니다”며 부랴부랴 진화에 나섰다.

5일 공항에 나타난 시너마 의원을 ‘그린뉴딜 네트워크(GNDN)’라는 단체 회원들이 둘러쌓다. 

“왜 법안에 반대하느냐” “당신이 반대하는 것은 기후변화 예산이냐, 노인의료 예산이냐, 자녀보육 예산이냐” 등의 질문을 퍼부었다. 

시위대를 피해 비행기에 탑승해 자리에 앉은 그녀에게 이번에는 또 다른 시위자가 다가왔다. 

“시너마 의원, 방해하기 싫지만 지금 꼭 대답을 들어야 하겠어요. 당신은 ‘다카(불법이민자 추방유예 프로그램)’에 반대합니까?”

지난해 대선에서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 패배 후 공화당은 그를 따르는 강경파와 온건 진영의 대립으로 바람 잘 날이 없었다. 

하지만 정작 심각한 것은 여당 민주당의 분열이다. 

바이든 대통령은 팬데믹 때문에 망가진 경제 회복을 위한 역점 사업으로 1조2000억 달러(1400조원)의 인프라투자 법안과 3조5000억 달러(4000조원)의 사회복지 법안을 추진하고 있다. 

이 중에서 기후변화, 이민 대책, 노인 의료, 최저임금 인상 등 다수의 지출 예산이 포함된 사회복지 법안이 문제의 핵심이다.

시너마 의원은 민주당이 당론으로 미는 사회복지 법안에 반대한다. 

‘넘버(법안 액수)’가 너무 크다는 것이다. 

시위대와 수시로 부딪히는 것도 이 때문이다. 

반대하는 것은 시너마 의원뿐만이 아니다. 웨스트버지니아주의 조 맨친 상원의원(74)도 있다. 

이들 2명의 의원이 민주당 내 온건파를 형성하고 있다. 흔히 ‘맨치너마(맨친+시너마)’라고 부른다.

현재 상원은 민주당과 공화당이 50명씩 양분하고 있다. 

카멀라 해리스 부통령이 캐스팅 보트를 쥐고 있지만 이들 2명의 의원이 반대표를 던지면 사회복지 법안은 과반수를 채우지 못해 통과되기 어렵다. 

반면 하원에서는 ‘맨치너마’ 때문에 사회복지 법안이 통과되지 못하는 상원 상황에 열 받은 다수의 민주당 강경파 의원들이 이미 상원을 통과해 하원 처리를 기다리고 있는 인프라 법안을 통과시키지 않겠다고 벼르고 있다.

시너마-맨친 의원은 사회복지 법안에 반대하는 이유에 대해 “국민들이 복지의존증에 걸릴 수 있다”고 주장한다. 

“과도한 지출이 인플레이션이나 스태그플레이션(불황 속 물가 상승)으로 이어질 수 있다”는 점도 이유다. 

이런 주장을 굽히지 않아 “소신파” “원칙주의자”라는 칭찬도 듣고 있지만 뒤에는 복잡한 정치 셈법이 작용하고 있다.

이들은 공화당 텃세가 심한 지역에 기반을 두고 있다. 

시너마 의원은 아리조나에서 40년 만에 처음으로 민주당이 배출한 상원의원이다. 

웨스트버지니아 역시 맨친 의원을 제외한 주지사, 주 의회, 다른 한 명의 상원의원 등 주요 포스트를 모두 공화당이 장악하고 있다. 

이들이 정치 생명을 이어가려면 무조건 당론을 따르기보다 과도한 사회복지 지출에 반대하는 지역구 민심과 보조를 맞추는 것이 더 중요하다.

맨친 의원은 노령인데다가 주지사를 지냈고, 10년 넘는 상원의원 경력도 있다. 뿐만 아니라 협상가능 선을 1조5000억 달러라고 분명히 밝히고 있어 민주당 강경파와 시위대의 표적에서 어느 정도 벗어나 있다. 

반면 시너마 의원은 초선인데다가 협상 선도 밝히지 않은 채 반대 의사만 표하고 있어 “공화당원”이라는 비판을 받고 있는 것이다.

아리조나를 대표하는 정치인으로 고 존 매케인 상원의원이 있다. 

그는 생전에 “매버릭(maverick)”으로 불렸다.

‘개성파’ 정도로 해석되는 ‘매버릭’은 당론에 얽매이지 않고 개인적인 매력을 발산하며 민심의 흐름을 주도할 줄 아는 정치인을 말한다. 

매케인 전 의원은 버락 오바마 대통령 시절 공화당 당론을 따르지 않고 민주당에 협력해 다수 법안을 통과시켰다. 

시너마 의원도 “내 롤 모델은 매케인”이라고 자주 말해왔다. 

그녀가 ‘매버릭’이 될 수 있을지는 좀 더 지켜봐야겠지만 전쟁터 같은 지금 미국 정치 상황에서는 무리인 듯하다.

 

Articles

40 41 42 43 44 45 46 47 48 4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