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 에너지솔루션 배터리공장, 아리조나 퀸크릭 건설 '확정'

by admin posted Mar 25, 2023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ESC닫기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67f11ee06c2ba6152395fe83f46c8644.jpg

 

 

LG 에너지솔루션이 아리조나주 퀸크리크에 당초 계약보다 5배나 많은 돈인 55억 달러(한화 7조2천억원)을 투자해 신규 원통형 및 에너지저장장치(ESS) LFP 배터리 공장을 짓는다고 한국시간 24일 밝혔다.

총 생산능력은 43GWh(기가와트시)로 북미 지역 글로벌 배터리 독자 생산 공장 중 최대 규모다.

LG 에너지솔루션은 이날 이사회를 열고 한때 보류했던 아리조나 원통형 배터리 독자 생산 공장 건설을 재개하고, 투자금액 및 생산규모를 각각 4조2천억원, 27GWh로 대폭 확대하기로 했다.

또 같은 부지 내에 3조원을 별도 투자해 총 16GWh 규모의 ESS 리튬인산철(LFP) 배터리 생산 공장도 건설하기로 했다.

ESS 전용 배터리 생산 공장을 짓는 것은 글로벌 배터리 업체 중 처음이다.

앞서 LG 에너지솔루션은 지난해 3월 아리조나주에 1조7천억원을 들여 11GWh 규모의 원통형 배터리 생산 공장 건설 계획을 발표했다.

그로부터 3개월 뒤 인플레이션 등에 따른 투자비 급등으로 계획을 재검토한다고 공시한 바 있다.

LG 에너지솔루션이 공장 건설을 재추진하게 된 배경으로는 미국의 인플레이션 감축법(IRA)이 꼽힌다.

LG 에너지솔루션 측은 "IRA 시행에 따라 북미 지역 내에서 고품질·고성능 배터리의 안정적인 공급에 대한 고객들의 요청이 크게 증가했다"며 "이에 따라 기존 계획했던 투자를 대폭 확대해 고객 및 시장 수요에 적극 대응해 나가기로 결정했다"고 밝혔다.

원통형 배터리 최대 수요처로 꼽히는 테슬라는 LG 에너지솔루션, 일본의 파나소닉, 중국의 CATL 등 3개 업체에서 배터리를 공급받고 있다.

미국의 대중 규제를 받는 CATL과 미국 내에서 대부분의 생산제품을 테슬라에 공급하고 있는 파나소닉을 제외하면 원통형 배터리를 안정적으로 공급할 수 있는 업체는 LG에너지솔루션이 유일하다.

미국의 신규 전기차 스타트업이자 아리조나주 카사 그란데에 첫 생산공장을 보유하고 있는루시드 등 LG에너지솔루션의 원통형 전지를 채용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LG 에너지솔루션은 이번 아리조나 공장의 건설로 주요 거점에 원통형 배터리 생산기지를 갖추게 됐으며, 테슬라를 비롯해 루시드, 프로테라, 리비안 그리고 아리조나에 본사를 둔 니콜라 등 주요 전기차 기업들과의 협력을 더욱 강화할 계획이다.

업계에 따르면 글로벌 원통형 배터리 시장은 36조8천억원에서 2026년 70조2천억원으로 2배 수준으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본격적으로 공장이 가동에 들어간 이후부터 LG 에너지솔루션과 SK온, 한화솔루션 등 북미지역에 선제적으로 공장을 구축한 한국기업들이 보조금과 환급금 등 많게는 수조 원에 달하는 수혜를 거둘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일각에서는 LG 에너지솔루션이 2025년 이후 미국 정부로부터 5조~7조 원 규모 세제혜택을 받을 것으로 추산하고 있다.

또한 미국 정부로부터 받는 환급금이 영업이익으로 잡히는 것으로 알려져 각 기업 전반적인 실적 규모가 크게 확대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LG 에너지솔루션 신규 원통형 배터리 전용 생산공장은 올해 착공해 2025년 완공과 양산을 목표로 한다.

주력 모델인 2170 원통형 배터리를 생산할 계획이며 미국 주요 전기차 고객사에 공급할 예정이다.

한국 배터리 업체 중 북미 지역 내 원통형 배터리 전용 생산공장을 건설하는 것은 LG에너지솔루션이 처음이다.

해당 공장은 연평균 27GWh의 생산능력을 갖출 예정이다. 

이는 고성능 순수 전기차 35만대를 생산할 수 있는 양으로 분석된다.

이번 투자를 통해 LG 에너지솔루션은 가파른 성장세가 예상되는 원통형 시장을 선도해 글로벌 최고 배터리 기업으로서 위상을 강화해 나간다는 계획이다.

LG 에너지솔루션은 ESS 전용 배터리 생산 공장도 건설한다.

이 공장에서는 LG에너지솔루션이 독자 개발한 파우치형 LFP 배터리가 생산된다. 

올해 착공에 들어가 2026년 양산이 목표다.

글로벌 ESS 시장 역시 각국의 신재생 에너지 관련한 정책적 지원이 확대됨에 따라 급격한 성장세가 예상된다.

LG에너지솔루션이 생산할 ESS 전용 LFP 배터리 및 시스템은 에너지 밀도 등에서 경쟁사 대비 강점을 갖췄다고 회사측은 설명했다.

또 미국 내 생산으로 물류, 관세 비용을 절감할 수 있어 가격경쟁력도 확보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했다.

특히 ESS 배터리 공급에만 집중하는 경쟁사와 달리 LG 에너지솔루션은 미국 법인 'LG에너지솔루션 버테크'를 통해 ESS 공급부터 사업 기획, 설계, 설치, 유지, 보수 등 ESS 전반을 아우르는 서비스 역량을 갖췄다는 평가를 받는다.

이번 신규공장으로 LG 에너지솔루션은 북미지역에서 총 7개의 생산기지를 확보하게 된다.

제품 포트폴리오도 더욱 다각화한다.

전기차 파우치·원통형 배터리는 물론 ESS용 LFP 배터리까지 제품영역을 넓혀 북미 지역 배터리 업체 중에서 가장 다양한 제품 포트폴리오를 갖추게 됐다.

LG 에너지솔루션 최고경영자(CEO) 권영수 부회장은 "이번 아리조나 독자공장 건설이 빠르게 성장하는 북미 전기차 및 ESS 시장을 확실하게 선점하는 기회가 될 것"이라고 기대감을 나타냈다.

바이든 대통령과 아리조나주도 크게 환영...퀸크릭은 LG 에너지솔루션 공장 유치위해 차근차근 준비해 와

한편 LG 에너지솔루션의 아리조나주 공장은 퀸 크릭에서 가장 큰 단일 고용주가 될 것이라고 시 웹사이트는 밝혔다. 

LG 에너지솔루션이 지역사회에 제공할 것으로 예상되는 일자리의 구체적인 수치는 아직 나오지 않았다.

LG 에너지솔루션의 이번 결정에 대해 바이든 대통령은 물론 아리조나주에서 크게 반기고 있다.

바이든 대통령은 "너무 오랫동안 우리는 일자리와 제조를 아웃소싱하고 상품을 수입해왔다"며 "우리는 마침내 미국과 아리조나에서 미래를 다시 만들고 있으며 동시에 기후 위기에도 대처하고 있다"는 성명을 내놨다.

아리조나주 마크 켈리 연방상원의원도 "오늘 발표는 수천 개의 양질의 지역 일자리를 지원할 뿐만 아니라 아리조나가 제조 및 재생 에너지 분야의 리더로서 입지를 강화될 것"이라는 환영 성명을 발표했다.

LG 에너지솔루션이 아리조나 공장 건설 재추진에 대한 재검토를 하는 중에도 퀸크릭은 LG 에너지솔루션 공장 유치에 대한 희망을 버리지 않았다.

퀸크릭은 한화 300억원이 넘는 자금을 확보해 도로를 닦고 상·하수도 건설을 추진하면서 Lg에너지솔루션 배터리 공장 유치에 대해 차근차근 준비를 이어갔다.

퀸크릭 시의회는 지난 3월 1일 인프라 자금 확보를 위한 시정부와 아리조나주 재무부간 협정(IGA)을 승인했고, 주 재무부로부터 특정 투자건에 대해 세금을 환급해주는 프로그램을 적용받아 3000만 달러를 돌려받게 됐다.

퀸크릭은 이를 LG에너지솔루션의 공장 운영을 지원할 인프라 조성에 쓴다는 계획으로 알려졌다.

3000만 달러는 새 도로와 상·하수도 시설 건설에 드는 전체 비용 약 8000만 달러 중 약 38%에 해당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