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 하이닉스 첨단 패키징 제조시설 부지에 아리조나도 후보지

by admin posted Jun 23, 2023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ESC닫기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C13-AZ Biz Estate.jpg

 

 

SK 하이닉스가 미국에 첨단 패키징 제조 시설을 설립하기 위해 부지를 물색 중인 가운데 아리조나를 포함한 텍사스, 뉴욕주 등 반도체 기업 공장이 위치한 장소들이 후보지로 거론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SK 하이닉스는 미국에 보유하고 있는 생산 시설이 없는 만큼 기존 공장이 들어서 있어 반도체 인프라가 형성된 지역을 택할 것이란 분석이다.

15일 반도체업계에 따르면 SK 하이닉스는 미국에 건설할 패키징 공장 부지를 선정하는 단계다. 

회사 임원들이 올초부터 미국을 찾아 복수의 후보지를 둘러보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미 행정부가 반도체지원법의 보조금 신청 조건으로 수율과 연도별 생산량 등의 민감한 자료를 요구해 투자를 철회해야 한단 주장도 나왔지만 SK 하이닉스는 패키징 공장 건설을 계획대로 추진한다는 입장이다.

앞서 박정호 SK 하이닉스 부회장은 지난 3월 정기 주주총회에서 “리뷰(검토)가 거의 주별로 끝나간다. 계획대로 진행할 것”이라며 “고대역폭메모리(HBM) 등에서 패키징 기술이 중요해지고, HBM을 요구하는 기업들이 미국에 있다 보니 (공장 부지를) 미국으로 선정하게 됐다”고 밝힌 바 있다.

반도체업계에서 SK 하이닉스의 미국 패키징 공장 후보지로 꼽는 지역은 아리조나, 텍사스, 뉴욕주를 비롯해 뉴멕시코와 오리건 등이다. 

모두 반도체 기업의 공장이 가동 중이거나 신규 라인이 지어지고 있다는 공통점이 있다. 

아리조나에는 TSMC가, 텍사스에는 삼성전자가, 뉴욕에는 마이크론이, 뉴멕시코와 오리건주에는 인텔이 반도체 라인을 각각 보유하고 있거나 신규 공장을 건설 중이다.

업계 관계자는 “공장 건설 과정과 완공 이후 인력 수급 등을 감안할 때 반도체 기반이 이미 마련된 지역을 부지로 선정할 것으로 보인다”며 “인텔의 첨단 패키징 공장이 있는 뉴멕시코주도 후보 지역이 될 수 있지만 인재 유출을 우려해 선택하지 않을 가능성이 있다”고 말했다.

SK 하이닉스의 미국 패키징 제조 시설 건립 계획은 지난해 7월 최태원 SK 그룹 회장과 조 바이든 대통령과의 화상 면담에서 공개됐다. 

최 회장은 이 자리에서 미국에 220억달러(28조2200억원)를 투자하겠다고 발표했는데, 이중 150억달러(19조2400억원)가 반도체 분야에 활용될 예정이다.


Articles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