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리조나 주립대학교(ASU)에 재학 중인 외국인 유학생 최소 8명의 비자가 최근 연방 정부에 의해 취소된 것으로 확인돼 논란이 일고 있다.
이번 조치가 트럼프 행정부의 유학생 관련 이민 정책 변경에 따른 것으로 보인다고 아리조나 루미나리아가 보도했다.
비자 취소 통보는 학생들이 본국에 있는 미국 영사관으로부터 직접 받은 것으로 알려졌다.
학생 대표 측은 대학 역시 학생들이 통보 사실을 알리기 전까지 해당 사안을 인지하지 못했던 것으로 보인다고 전했다.
ASU 박사과정 학생이자 '아리조나 통합 캠퍼스 노동자 조합' 대표인 마이클 킨처는 “피해 학생들은 명확한 사유를 통보받지 못한 채 갑작스럽게 미국 내 체류 자격을 잃게 돼 두려움과 혼란을 겪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비자 취소 통지서에는 구체적인 사유가 명시되지 않았다”고 덧붙였다.
일각에서는 지난 4월 ASU 교내에서 70여 명이 체포됐던 친팔레스타인 시위와의 연관성을 의심하는 목소리도 나왔다.
최근 미국 내 다른 대학에서도 유사 시위에 참여한 유학생의 비자가 취소된 사례가 있었기 때문이다.
그러나 ASU 측은 "이번 비자 취소는 시위 참여와는 관련 없다"고 공식 부인했다.
대학 대변인은 이메일을 통해 "대부분의 경우, 다양한 법규 위반으로 보이는 사안에서 비롯된 것으로 파악된다"고 밝혔으나, 구체적인 위반 내용이나 경중에 대해서는 설명하지 않았다.
실제로 지난 4월 시위와 관련해 기소됐던 학생들에 대한 혐의는 최근 법원에서 '불이익 없는 기각'(without prejudice) 결정이 내려져 종결된 바 있다.
킨처 대표 역시 "해당 학생들이 범죄 기록이 있거나 시위·활동가 활동에 적극적으로 가담했다고 보기는 어렵다"고 주장했다.
한편, ASU는 비자가 취소된 학생들에게 무료 법률 상담을 제공하고 학위 과정을 마칠 수 있도록 지원하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학생 노조 측도 관련 지원 정보를 취합해 제공하는 등 대응에 나서고 있다.
킨처 대표는 "아직 알려지지 않은 피해 학생이 더 있을 수 있다"며 "유학생들은 우리 공동체의 친구이자 동료인데, 어느 날 갑자기 옆자리의 동료가 사라질 수 있다는 불안감이 있다"고 우려했다.
ASU의 국제학생지원센터는 최근 유학생들에게 이민 관련 서류를 항상 지참할 것과 SNS 계정을 비공개로 설정할 것을 권고한 바 있다.
한편 이번 비자 취소 사태에 항의하며 ASU 재학생 수 십명은 교내 곳곳에서 피켓 시위를 진행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