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문을 환영합니다.
AZ 포스트::아리조나뉴스
조회 수 262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N07-AZ hot issue.png

 

 

미국의 석탄발전소는 2011년에 318GW에 달했으나 2019년 229GW까지 줄었다. 

2020년에만 11.3GW가 폐쇄됐고 2021년에도 2.1GW가 폐쇄됐다.

연방정부 차원에서 공식적으로 탈석탄 연도를 선언한 바는 없지만 석탄발전소에 대한 환경규제 도입, 기후정책 강화 등의 영향으로 오바마 정부 이후 꾸준히 미국 내의 석탄발전소들은 문을 닫고 있다.

특히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이 석탄과의 전쟁을 끝내겠다고 선포하며 규제를 크게 완화했음에도 불구하고 탈석탄은 계속 이어져 오바마 대통령의 첫 번째 임기 4년 대비 트럼프의 2년 집권 동안 더 많은 석탄발전소가 퇴출되기도 했다. 

석탄발전소에 적용되는 대기, 수질, 폐기물 등 오염물질 저감 기준을 충족시키기 위해서는 자금이 많이 드는 환경개선설비가 요구된다. 

이는 석탄발전으로 얻을 수 있는 경제성 판단에 중대한 영향을 미쳤다. 

스모그로 인한 건강 피해를 줄이기 위해 1970년 청정대기법이 제정되면서 신규 석탄발전소의 대기오염물질 배출에 대한 연방 차원의 규제가 시작됐다.

수은 및 유해대기오염물질 기준은 도입 초기 발전사가 지나친 비용 부담을 이유로 소송을 제기함에 따라 일시적으로 철회됐음에도 불구하고 저감시설 설치 부담을 가중시켜 많은 석탄발전소들의 폐쇄를 이끌어냈다. 

주와 주 사이 대기오염물질 이동규제와 그 이전 단계 규제는 석탄발전기 수명을 호기당 각각 21.6개월, 16개월씩 단축시킨 것으로 평가받기도 했다.

2007년 연방대법원은 기후변화 심각성을 인정하며 온실가스가 대기오염물질에 해당하며 연방환경청이 규제 권한을 지닌다는 점을 인정했다. 

이후 온실가스 관련 규제가 지속적으로 강화됐다.

연방정부는 기존 발전소 배출허용기준의 이행을 위해 주 단위 감축목표를 정하고 그에 상응하는 화력발전 탄소감축계획을 제출하도록 했다. 

이를 통해 2030년경에는 전력부문 탄소배출량을 2005년 대비 32% 감축시켜 건강과 기후 편익 비용을 8∼12배까지 늘린다는 계획이다.

태양열, 풍력 발전 등 재생에너지는 초기에 연방 단위 보조금과 주 단위 공급의무화 제도 등에 힘입어 확대됐는데 재생에너지 가격이 하락하면서 점차 시장 입지가 확고해지는 추세다. 

2018년 조사에 따르면 미국 내 석탄발전소의 약 74%가 재생에너지 대비 가격경쟁력이 없는 것으로 평가된 바 있다. 

2020년에는 이미 재생에너지 발전량이 석탄을 넘어섰다.

 

아리조나주의 탈석탄화 노력 

미국에서는 지역별로 탈석탄을 이루는 방식이 다양하게 나타난다. 

연방정부가 제시하는 목표에 도달하는 방법을 주정부의 재량에 맡겼기 때문이다.

아리조나주는 발전사의 자발적 정책을 통해 퇴출을 유도했다. 

아리조나는 탄소배출 감축 의무를 따로 부여하고 있지 않지만 발전사들이 시장경제에 따라 자발적으로 석탄을 퇴출하고 있다. 

특히 태양광 잠재량이 높은 지역적 특성으로 인해 재생에너지로 전환이 경제적이라는 인식이 변화를 촉진하고 있다.

2021년 기준 총 4개의 발전소에서 9개의 석탄발전기(약 2.96GW)가 운영 중이며 이 중 5기는 2032년 이내로 폐쇄가 확정됐다.

2019년 아리조나주 최대 용량(2250MW) 나바호 석탄발전소(Navajo, NGS)가 폐쇄된 것은 석탄발전의 경제성 하락을 가시적으로 보여주고 있다. 

나바호 발전소 가동 중단을 막기 위해 주요 석탄 공급사가 가격 인하를 제안하고, 당시 트럼프 행정부가 대기오염 규제를 완화했으며, NGS의 전력 구매를 강제하려는 시도도 있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나바호 발전소의 공동소유자들은 가동이 비경제적이라고 판단해 폐쇄를 결정했다. 

이후 발전사는 해당 지역에 태양광(28MW)사업을 추진, 기존 노동자 중 433명에게 이직 기회를 제공했다.

2020년 아리조나 퍼블릭 서비스(APS)는 기존 목표를 7년 앞당겨 2031년 탈석탄, 2050까지 탄소중립 목표를 발표했다. 

투산 일렉트릭 파워(TEP)는 2035년까지 재생에너지 70%를 목표로 태양광 1.7GW, 풍력 850MW, 에너지저장장치 1.4GW를 설치할 계획이다. 

대형 에너지저장장치 건설에 적극적으로 투자하는 아리조나 전력회사 솔트리버 프로젝트(SRP)는 2050년까지 탄소 배출을 90% 감축하겠다고 선언했다. <사진 설명: 2019년 폐쇄 이후 2020년 12월 당시 폭파 철거되고 있는 나바호 석탄발전소>

?

  1. “위험한데 뭐 하러”…투표소로 빌려주기 싫다는 아리조나 학교들

    지금까지 미국에서 각종 선거들은 공립학교 체육관과 교실에서 치러졌다. 부지가 넓어 많은 사람을 수용할 수 있는 것은 물론 투표 장비를 놓기에 용이했기 때문이다. 하지만 아리조나를 포함한 일부 주의 공립학교가 투표소로 빌려주기를 거부하면서 오는 11...
    Date2024.08.17
    Read More
  2. 아리조나의 글렌캐년 명물 ‘변기 바위’ 풍화·침식에 붕괴됐다

    아리조나와 유타주 경계에 위치한 글렌캐년 국립휴양지의 록크릭 베이에 위치한 관광 명소인 ‘더블 아치’ 바위가 붕괴했다고 CNN 방송이 10일 보도했다. 이 바위는 변기나 초승달 웅덩이, 지붕에 난 구멍이라는 이름으로도 잘 알려졌다. 국립공원...
    Date2024.08.17
    Read More
  3. 아리조나, '주 헌법에 낙태권 명기' 11월 주민투표에 붙인다

    미국 대선 승패를 결정지을 핵심 경합지로 꼽히는 아리조나주가 오는 11월 선거 때 낙태권을 주 헌법에 명기하는 개정안을 함께 투표하기로 했다. 아리조나주는 낙태권 헌법 개정안을 투표에 올리기 위한 유권자 서명이 조건을 충족했다며 찬반 투표를 오는 1...
    Date2024.08.17
    Read More
  4. 투산의 한국전쟁 기념광장에 설치된 기념메달 12개 도난당해

    아리조나주 투산에 위치한 키노 스포츠 파크 내에 자리한 한국전쟁 기념광장 그리고 에비에이션과 리치 교차로에 위치한 골드 스타 패밀리 메모리얼 모뉴먼트(Gold Star Families Memorial Monument) 기념비에서 국가를 위해 봉사한 군인들의 헌신을 기념하는...
    Date2024.08.16
    Read More
  5. KBO 역수출 신화 ‘켈리’가 돌아왔다, 날개 단 다이아몬드백스

    한여름 메이저리그에서 가장 뜨거운 팀은 아리조나 다이아몬드백스다. 7월 이후 25승10패로 같은 기간 메이저리그 전체 최고 승률(.714)을 질주 중이다. 최근 18경기 15승으로 폭주 중인데 한국프로리그에서 뛰다 메이저리그로 돌아온 ‘역수출 신화&rsq...
    Date2024.08.16
    Read More
  6. 해리스·월즈, 러스트벨트 거쳐 '선벨트' 아리조나서 동반 유세

    민주당 대선 후보로 선출된 카멀라 해리스 부통령이 9일 아리조나주 글렌데일에서 유세를 갖고 경쟁자인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을 정조준하고 나섰다. 해리스 부통령은 전날까지 중부 러스트벨트(미 5대호 연안의 쇠락한 공업지대) 경합주에서 사흘간 유세...
    Date2024.08.16
    Read More
  7. 피닉스시의 시그니쳐 프로젝트 ‘쿨 페이브먼트’ 중단 좌초 위기?

    아리조나주 피닉스시가 여름철 더위를 식히는 한 방법으로 야심차게 추진했던 ‘쿨 페이브먼트(cool pavement)’ 프로젝트가 좌초 위기에 처했다. 도로를 검은 색 아스팔트가 아닌 흰색 특수도료 소재로 칠해 열을 반사시켜 주위의 온도를 낮추겠다...
    Date2024.08.12
    Read More
  8. 아동 성범죄자 유인하는 위험한 SNS 챌린지 벌인 아리조나 청소년들

    아리조나주 스카츠데일 경찰이 SNS 상에서 유행하고 있는 위험한 챌린지에 청소년들이 무모한 도전을 하지 말라고 경고하고 나섰다. 스카츠데일 경찰은 최근 일부 청소년들이 온라인을 통해 아동 성범죄자를 유인한 2개의 사건을 조사 중이라고 밝혔다. 경찰...
    Date2024.08.12
    Read More
  9. 선한 시민과 아리조나 경관들, 힘 모아 고립된 새끼고양이 구출

    다리 위에서 떨어지려는 남성을 막기 위해 다가간 경찰들이 그가 고양이를 도우려 했다는 걸 알고 함께 구조에 나섰다고 동물매체 ‘더도도’가 보도했다. 최근 아리조나주 공공안전국은 프리웨이 고가도로에서 한 남성이 몸을 기울이고 있다는 신...
    Date2024.08.12
    Read More
  10. 그랜드캐년 연이틀 추락사망, 1명은 낙하산 메고 뛰었다 참변

    아리조나주 그랜드캐년에서 이틀 연속 추락 사망사고가 발생했다. 국립공원관리청(NPS)에 따르면 지난달 31일 그랜드캐년을 방문한 노스캐롤라이나의 한 대학생이 약 400피트 아래로 떨어져 사망했다. 사고는 이날 오전 10시 40분경 파이프 크릭 전망대 근처...
    Date2024.08.10
    Read More
  11. 밸리서 구리 절취사건 여전히 기승, 이젠 합법 작업자로 위장

    밸리지역에서 여전히 구리 절취사건이 기승을 부리고 있다. 구리가 비싼 가격에 거래되면서 도둑들이 좋은 타켓을 좀처럼 포기하지 않고 있어서다. 구리 절취 수법은 계속 진화해 예전처럼 마구잡이로 도둑질을 하지 않는다는 게 업계 관계자들의 설명이다. ...
    Date2024.08.10
    Read More
  12. 피닉스 선즈, 지구 1옵션 듀란트에게 38세에도 초대형 계약 안겨줄까

    듀란트와 피닉스의 동행이 언제까지 이어질까. 피닉스 선즈 소식을 주로 다루는 ‘아리조나 센트럴’의 듀안 랭킨 기자는 4일 선즈의 조쉬 하텔슈타인 CEO와 인터뷰를 진행했다. 데뷔 후 15년 이상이 지났지만 케빈 듀란트는 여전히 리그 정상급 포...
    Date2024.08.10
    Read More
  13. 음주운전 방지상 받았던 템피 경찰관, 본인이 음주운전으로 체포

    음주 운전 방지 활동으로 '음주 운전을 반대하는 어머니 모임'(MADD)으로부터 얼마 전 상을 받은 템피 경찰관이 최근 음주운전 혐의로 체포됐다. 아리조나 공공안전국은 “템피 경찰 소속의 재커리 하이드 경관이 음주운전을 했다는 합리적인 의...
    Date2024.08.09
    Read More
  14. ‘난폭한 운전자 가장 많은 주’ 전국 3위 아리조나 ‘불명예’

    미국 최대의 교통사고 전문 로펌 중 하나인 ‘반스 펌’(The Barnes Firm)이 미 전국 51개주를 대상으로 조사한 ‘난폭한 운전자가 많은 주’(States with the Most Reckless Drivers) 자료(2022년 기준)에 따르면, 아리조나는 전국에서 ...
    Date2024.08.06
    Read More
  15. 아리조나주 스카츠데일 경찰, 긴급상황 대응에 드론 활용한다

    아리조나주 스카츠데일 경찰이 긴급상황에 대응하기 위해 드론을 사용할 계획이다. IT매체 엔가젯에 따르면 스카츠데일 경찰은 아리조나주에서 최초로 감시 카메라를 통해 잠재적 범죄 현장과 긴급상황에 투입할 수 있는 특수 드론을 사용할 예정이다. 기술은...
    Date2024.08.05
    Read More
  16. 한국말 하는 메사의 존 자일스 시장, 공화당 소속인데 해리스 지지 선언, 왜?

    ‘친한파’ 자일스 시장의 정치적 소신 발언 ‘화제’ 11월 미 대선의 승패를 좌우할 경합주 가운데 하나인 아리조나주의 메사시 시장이 공화당 소속임에도 불구하고 민주당 대선 후보인 카멀라 해리스 부통령을 지지한다는 이례적인 입...
    Date2024.08.04
    Read More
  17. 파웰 호수서 보트 전복돼 70세 여성 4세 아동 등 3명 사망

    지난 7월 26일 아리조나주 북부의 파웰 호수에서 11명을 태운 폰툰 보트가 전복돼 여성 한 명과 아이 두 명이 사망하는 사고가 발생했다. 다른 두 명은 위중한 상태로 치료를 받고 있다. 폰툰 보트란 두 개 이상의 금속 튜브(폰툰) 위에 크고 평평한 데크가 ...
    Date2024.08.04
    Read More
  18. 아빠와 함께 요세미티 최고 위험구간 등반하던 아리조나 여대생 추락사

    지난 7월, 아버지와 함께 캘리포니아 주의 요세미티 국립공원 내 암벽 구간인 하프돔을 오르던 아리조나주 벅아이의 여대생이 추락해 사망했다고 NBC 뉴스 등이 보도했다. 그레이스 롤로프(20)는 7월 13일 아버지와 함께 캘리포니아주 요세미티 국립공원 내 ...
    Date2024.08.03
    Read More
  19. 아리조나 투산 14살 주니어 선수 '꿈의 타수' 59타 기록

    미국주니어골프협회(AJGA) 지역 대회에서 아리조나주의 열 네살짜리 선수가 '꿈의 타수'로 불리는 59타를 쳤다. 지난달 25일 골프위크 보도에 따르면 아리조나주 투산에 거주하는 AJ 라모스(사진 오른쪽에서 첫번째)는 7월 17일 아리조나 스카츠데일...
    Date2024.08.03
    Read More
  20. 아리조나주의 ‘탈석탄화’ 노력은 어떻게 진행되고 있나?

    미국의 석탄발전소는 2011년에 318GW에 달했으나 2019년 229GW까지 줄었다. 2020년에만 11.3GW가 폐쇄됐고 2021년에도 2.1GW가 폐쇄됐다. 연방정부 차원에서 공식적으로 탈석탄 연도를 선언한 바는 없지만 석탄발전소에 대한 환경규제 도입, 기후정책 강화 등...
    Date2024.07.30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5 6 7 8 9 10 11 12 13 14 ... 157 Next
/ 157
롤링배너1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