헤르페스(단순포진) 바이러스가 사람에게 감염되면 평생 우리 몸속에 남는다.
평소엔 잠복 상태로 있다가 면역력이 떨어지면 바이러스가 활성화하면서 증상이 나타난다.
성기나 입술 주변에 포진을 유발하는 데 그치지 않고 뇌에서 알츠하이머병까지 유발할 수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아리조나주립대(ASU)와 배너알츠하이머연구소 공동 연구진은 “헤르페스 바이러스가 장에 감염되면 나중에 뇌로 이동해 알츠하이머병을 발병시킬 가능성이 높다”고 20일 미국 알츠하이머 협회의 국제 학술지 ‘알츠하이머병과 치매(Alzheimer’s & Dementia)’에 발표했다.
배너알츠하이머연구소는 미국 일라이 릴리, 스위스 로슈 등 글로벌 제약사들과 알츠하이머 치료제 연구를 같이 하고 있다.
헤르페스 바이러스는 전 세계 인구의 70% 이상이 보유하고 있을 정도로 매우 흔하다.
세계보건기구(WHO)에 따르면, 전 세계 50세 미만 인구의 약 67%가 입 주변의 헤르페스 1형에, 13%가 성기의 2형에 감염됐으며, 이들 중 약 87.4%가 진단을 받지 않은 상태로 추정된다.
연구진은 알츠하이머병과 헤르페스 감염의 연관성을 연구하기 위해 알츠하이머병으로 사망한 사람들의 뇌를 들여다 봤다.
면역조직화학검사(IHC)로 이들의 사후 뇌의 조직학적 특징과 미세환경을 그대로 유지하는 뇌 오가노이드(미니 장기)를 만들어 연구를 진행했다.
그 결과, 연구진은 이들 뇌 오가노이드에서 헤르페스 감염의 근거를 발견했다.
헤르페스 바이러스가 장과 뇌를 연결하는 중요한 고속도로인 미주신경을 통해 뇌로 이동한다는 원리다.
자율신경인 미주신경은 뇌에서 장까지 연결돼 있어 장 신경계와 신호를 주고받는다.
연구진은 이 바이러스가 뇌에서 활성화해 알츠하이머병의 원인으로 알려진 아밀로이드 베타와 타우 단백질이 비정상적으로 쌓여 서로 엉키는 현상을 유도한다고 밝혔다.
이번 연구를 주도한 아리조나주립대-배너연구소의 벤 리드헤드 신경퇴행성질환 교수는 “우리는 알츠하이머병 환자의 25~45%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생물학적으로 독특한 알츠하이머병의 하위 유형을 발견했다”며 “이 아형 알츠하이머병에는 아밀로이드 베타 덩어리와 타우 엉킴은 물론, 뇌의 바이러스와 항체·면역 세포의 뚜렷한 생물학적 연관성이 있다”고 설명했다.
연구진이 분석한 알츠하이머병 환자들의 사후 뇌에는 알츠하이머병 병력이 없는 사람보다 염증 관련 면역 세포와 장내 바이러스가 많이 발견됐다.
척수액에는 헤르페스 5형에 해당하는 거대세포바이러스(HCMV)에 대한 항체가 포함된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진은 헤르페스 바이러스 감염이 뇌 건강과 신경 퇴행에 미치는 잠재적 영향이 광범위하다고 보고, 추가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아리조나주립대 공동 연구진은 알츠하이머병 치료제로 쓰이는 항바이러스 약물이 알츠하이머병 치료·예방에 효과가 있는지 확인하기 위한 혈액 검사법을 현재 개발 중이다.